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백일홍5

화명생태공원 백일홍이 피었어요. 잠시 시간이 나서 화명생태공원에 들러 백일홍을 보고왔습니다.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많으면 많고 작으면 작다 느낄만큼 펴있다. 본인이 보러갔을때는 많다고 느낀다. 앞쪽에 백일홍은 꽃들이 작은 비탈길(?)에 심어져있어서 꽃이 눈높이 만큼 피어있는거같다. 백일홍 한송이한송이 보면 참이쁘다. 시간이 난다면 바로 옆 산책길에 목수국이 아직은 볼만큼은 피어있었으니 한번 둘러봐도 좋다. 2022. 8. 22.
[함안여행, 함안가볼만한곳] 배롱나무와 백일홍이 이쁘게 핀 고려동유적지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고려 후기 성균관 진사 이오선생이 거처를 정한 곳이다.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580번지 내 위치한 고려동유적지는 고려 후기 성균관 진사 이오(李午)선생이 고려가 망하고 조선왕조가 들어서자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로 결심하고 이곳에 거처를 정한 이후 대대로 그 후손들이 살아온 곳이다. 이오는 이 곳에 담장을 쌓고 고려 유민의 거주지임을 뜻하는 '고려동학'이라는 비석을 세워 논과 밭을 일구어 자급자족을 하였다. 그는 아들에게도 조선왕조에 벼슬하지 말 것과 자기는 죽은 뒤라도 자신의 신주(神主)를 이 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옮기지 말도록 유언하였다. 그의 유언을 받든 후손들은 19대 600여 년에 이르는 동안 이 곳을 떠나지 않았고, 이에 고려동(高麗洞)이라는 이름으로 오늘까지 이어.. 2022. 7. 20.
대구 7월에 가볼만한곳 신숭겸장군유적지 배롱나무 만개 2022년 07월 13일 방문 1982년 3월 4일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표충재 평산신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고려 태조 때 개국공신 장절공(壯節公) 신숭겸이 순절한 곳이다. 신숭겸은 태봉의 기장(騎將)으로 있으면서 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를 내몰았다. 동시에 왕건을 받들어 고려를 개국한 뒤 대장군이 되었다. 927년(태조 10)에 신라를 위기에서 구하려고 태조 왕건과 함께 후백제군을 상대로 대구 공산(公山)에서 싸웠으나 크게 졌다. 이 싸움에서 왕건의 목숨이 위기에 처하자 왕으로 변장하여 김락(金樂)과 같이 싸우다 왕건을 대신해서 전사하였다. 이를 틈타 왕건은 장졸로 변장하여 적의 포위망을 뚫고 단신으로 탈출하였다. 왕건은 신숭겸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 광해주(.. 2022. 7. 14.
경북여행 칠곡 가실성당 배롱나무 개화상황 2022년 7월 13일 방문기입니다. 가실성당은 1895년에 조선 교구의 11번째 본당으로 초대본당신부는 파리외방선교회의 하경조 신부다. 본당의 넓은 관할 지역 안에는 공소 31개가 있으며, 현재의 성당 및 사제관은 1924년에 완성되었다. 성당의 주보성인 성당은 인민군 병원으로 그대로 남아있으며, 전쟁 관계로 월남한 성 베네딕도 수도회의 신부들은 1952년부터 가실성당을 위한 사목을 맡고있다. 가실성당에 속하고 있더거 본당이 된 곳은 모두 4개이며, 김천 황금동, 용평, 퇴강, 왜관이 있다. 1995년 100주년 사업으로 현재 성모당이 형성되었고 성당의 거룩한 분위기를 높이는 색유리화는 2002년에 설치되었고 2003년에 성당 및 구사제관은 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제부터 소개할 가실성당은 7월.. 2022. 7. 14.
대구 달성 배롱나무 명소 하목정 개화상황 2022년 07월 13일 방문기입니다. 달성 하목정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낙포 이종문(洛浦 李宗文)이 선조 37년(1604)에 세운 것으로, 원래는 주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곳에 머문 적이 있어, '하목정' 이라는 이름을 이종문의 장남인 이지영에게 직접 써 주었다고 한다. 일반 백성들의 주택에는 서까래 위에 부연(附椽)*을 달지 않는 것이 관례였으나, 인조의 명으로 부연을 달았다고 한다. 이 정자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의 넓은 대청에 방 4칸을 세로로 덧붙여 평면이 '정(丁)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구조는 조선 중기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지붕의 양쪽 추녀를 조금씩 잘라 처마 끝을 둥그스름하게 만든 방구.. 2022. 7. 14.
728x90
반응형